2022년 6월 30일 목요일

자기계발 일변도의 교훈 향유 문화는 담론을 평면화하고 스캠을 낳는다

역대 본 것 중 손꼽게 열받는 유튜브컨텐츠 및 채널인듯하다. 자석은 왜 서로 밀거나 당기는지에 대한 파인만의 유명한 답변 영상을, 본 채널에서는 매우 교훈적, 자기계발적으로 전유해두었다.


사실 파인만의 원래 영상도 뛰어난 고찰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킹받는 면이 있기는 하지만 과학자의 태도와 과학지식의 성격에 대해 알려주는 유익한 메시지이다. 그런데 거기에 K-자기계발이 더해지니, 과학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 난데없이 인생에 대한 교훈으로 바뀌어 버렸다.


다른 나라라고 이런 게 없지는 않겠지만 한국에서는 만물에 대한 자기계발 일변도의 교훈적 소비 문화 (그리고 그것의 상업화)가 정말 발달해 있는 것 같다.


사람 1명, 문구: '자석을 들고 댓글 작실만일 작심만일 성공 마인드 동반자님이 고정함 작심만일 성공 마인드 동반자 2개월 전(수정됨) [작심만일 오프라인 퍼포먼스 코칭모집] "단 30개 영상으로 5개월만에 유튜브 15만 구독자 만든 비결" "목표 성공의 본질을 체화하게 해드립니다" https://bit.ly/3xw6hdR 49'의 이미지일 수 있음 

사람 1명, 문구: '"후..이것봐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먼 11:05 질문자의 우문에 인생 현답을 하다 작심만일 전설적인 물리학자의 몰입감 쩌는 인생 교훈... (과연 나는 어떨까?) 작심만일 성공 마인드 동반자· 조회수 80만회· 2개월전'의 이미지일 수 있음

그 원인을 추측해 보자면 발달한 매체 환경, 대학입시의 절대적(?) 중요성, 취업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힐링 필요성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런 토양에서 대학입시 강사들이 청소년들 세계관에 비대한 영향력 행사하며 가스라이팅 하고, 더 나아가 성인들까지 현혹하는 졸꾸맨 신박사도 탄생하고 뭐 그렇게 되는 듯.


Facebook에서 이 글 보기: 링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