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혹은 그들이 만들어낸 시스템에 의해 회고되는 위대하거나 소소한 성취들을 보면서, 매우 최근까지도 implicit하게 가지고 있던 어떤 사고방식이 있다. 대략 언어화해 보자면, 아무리 즐거운 기억, 아무리 훌륭한 성취도 제대로 기록되지 않는다면 그 의미를 상실한다는 생각, 혹은 조금 더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모든 훌륭하고 즐거운 사건들은 오직 기록되기 위해서 기획되고 전개되는 것일 거라는 정도의 생각이다.
몇 달 전에 내 사고방식의 그런 부분을 명시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마침 내 흘러간 과거의 개인 자료들을 보게 되는 등, 거의 동시에 일어난 몇 가지 우연한 계기 때문에 최근에 생각이 크게 바뀌고 있다. 시간 눈금을 조금 길게 잡아서 보면 그런 기록물들과 현재의 우리와의 관계는 생각보다 금방 단절되는 감이 있다. 사람들과 함께하며 어떤 활동을 함께한 기억은 그 사람들을 만나거나 상기할 때 거의 즉각적으로 호출될 수 있고, 심지어는 축적된 경험으로서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작동하면서 개인과 세계에 영향을 주는데, 이런 기억과 경험들이야말로 의미를 발생시키는 원천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기억과 경험들 및 그 영향도 당연히 영속하지는 않고, 지속시간으로만 따지면 명시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내용들과 별반 다르지 않거나 더 짧을 수 있다. 하지만 요지는 영속성이 아니라, 그 충만함의 정도와 양태가 많이 다르고, 둘 중에서 전자가 인간에게 있어서 '의미'라는 부분에 더 많이, 더 직접적으로 닿아 있지 않은가 하는 것.
위대하거나 소소한 성취들과 사건들의 경우에도, 그 기록이 아주 적거나 아주 많거나 상관없이, 현장에 참여하지 않은 채로 기록된 내용들만 보아서는 그 전모를 파악하기 어려운 비텍스트적인 면모들도 많다. 바로 그 공간, 바로 그 시간에 있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고, 심지어 바로 그 시공간에 있었더라도 거기에서 발생한 사건을 나의 정신적, 신체적 에너지와 사회성의 많은 부분을 열정적으로 쏟아부어서 충실하게 체험하고 의미화하지 않았다면 재현해내고 공유하고 집단적으로 향유하기 어려운 그런 것들.
인간 활동의 응집력은 그 활동에 관여한 사람들이 하나둘씩 흩어지면서 생각보다 금방 흩어지게 마련인데, 그 활동들이 의미가 되고 영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많은 경우에 기록보다는 이런 식으로 거기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의식적 기억, 무의식적으로 축적된 경험들이 아닌가. 물론 나는 성향상 그런 참여에 충실하지 못하고 기록 위주로 생각하고 간접 경험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사람이기 때문에, 이런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을 굳이 돌아돌아 생각까지 해야 알 수 있는 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