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게시물 목록

2017년 8월 25일 금요일

정체성 판타지 비판

  누군가 그저 자기 기분의 만족을 위해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가볍게 소비하는 일은 꽤 흔하지만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성적 소수자성, 드문 출신 배경, 특정 정신질환 병력 등에 대한 왜곡된 판타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겉보기에 호의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도, 이것은 차별주의의 또다른 얼굴일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 판타지'와 관련해서 개인의 책임을 규명하는 데에는 다소 난점이 있으나 적어도 미디어와 사회에 대해서는 명백히 비판이 가능해 보인다.

  좀 더 넓혀 보자면 학력, 소속, 전공, 직종 등에 대해서도 이런 일이 많은데, 대면한 상대방에 대한 인간적 존중이 결여된 채 그의 정체성(과 연관되어 발생한 편견)만을 가볍게 소비한다면, 위 문단과 비슷한 이유로 상황에 따라 그를 불쾌하게 할 수 있다.

  이런 부류 중 최악인 것은, 권력 차에 의한 억압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러한 정체성 판타지가 작동하는 경우이다. 수많은 예가 있지만 가장 중대한 예 중 하나는 젠더권력일 것이다. 신체를 다루는 직종들에 대한 유서깊은(...) 성적 대상화도 이러한 맥락에서 조명할 수 있다.

※ 거시적인 정치사회학도 아니고 미시적인 언어생활을 다루는데, 그것을 위해 적용하는 개념들이 본문같은 경우에 지나치게 거창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물론 개념체계가 언어직관에 부합하는지 끊임없이 비추어 보는 것도 학술적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적어도 현재로서는 이것은 이러한 주제에 대해 무언가를 '말해내기' 위한 거의 유일한 개념체계이며, 더 나아가 일상언어 역시 미시적이긴 하나 분명히 '정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폭로한다는 면에서 꽤 매력적인 개념체계이기도 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rchived on 2018.12.3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