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게시물 목록

2022년 5월 12일 목요일

(쪽글모음) 약탈적 학술지, 연구윤리, 대학입시

한동훈 장관후보 자녀의 약탈적 학술지 게재 논란에 대해 쓴 짧은 쪽글들을 이곳에 모아 올린다.


고등학교 측의 책임

(2022.05.08, Facebook 게시물 링크)

각종 논문대회 수상이나 저널 논문 같은게 심심치 않게 나오는 고등학교의 경우는 대필, 표절, 약탈저널 등의 문제가 있을때 징계 및 생기부 기재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논문게재 사실은 학교의 경사(?)인 만큼 당연히 파악하고 있을 테니까 말이다.

논문 쓸 수는 있는데, 문제가 드러났을 때 학교 소관으로 책임 지울 방법과 선례가 마땅히 없으니 윤리의 아노미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닌가. 만약에 드러났을 때 단순히 철회하고 끝난다면 제대로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지금처럼 대중적으로 논란이 되는 경우에도 학교에서 마련된 징계 절차가 작동하면 되니까, 어떻게든 책임을 지우고 고통받게 만들겠다는 사적 조리돌림 또한 덜해지지 않을까 싶다.


이유 있는 직업윤리는 보편윤리다: 학계 내의 규칙이 무슨 상관이냐는 자들에게

(2022.05.08, Facebook 게시물 링크)

부문별 직업윤리를 타부문에 대한 잣대로 적용하는건 근본적으로 '비유적'일 수밖에 없고 보편윤리라고 보기 어렵다. 반면, 누군가가 자신의 부문에서 이유 있는 직업윤리가 위반된 사실을 발견하고 호소할 때에 남들이 그러한 호소를 존중하고 들어보는 건 명백히 보편윤리의 영역이라고 본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어떤 개인도 사회의 전모를 파악하고 있지 못한' 현대사회의 가치체계를 지탱하는 기본적인 합의에 금이 가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치 과학에서 '정설'이 형성되고 소비되는 과정을 단순히 권위에 의존한 논증으로 취급할수 없는 것과 비슷하다.

보편윤리 감각의 결여를 자랑삼아 얘기하는 분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다.



미국 명문대 입시의 현실: 검증역량 부족과 신뢰기반 선발의 맹점을 파고드는 아시안들

내가 굉장히 궁금하고 긴가민가했던 지점을 짚어주는 이석원 교수님의 포스트(Facebook 게시물 링크)을 보았다.

결론은, 미국 명문대들도 입시 과정에서 약탈적학술지 같은 스캠성 실적들 일일이 검증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 에 가까운듯. 그 틈을 파고들어 신뢰를 깨면서 일해온게 스캠에 의존하는 입시컨설팅인거고.

전에도 말했지만 한국이든 미국이든 입학본부가 더 많은 질적, 양적 노력을 들여서라도 그런걸 적극적, 구체적으로 걸러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이라면 아예 최근에 발의된 법안처럼 국가차원에서 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게 보통 큰 일은 아닌가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