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게시물 목록

2023년 2월 24일 금요일

대학원 생활에서 불안감의 요인: 사회적 계약의 부재와 유예되는 진로선택

대학원생은 대학생이 아니라서 장학금도 드물고, 인건비도 근로소득이 아닌 기타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회사 다니는 친구들이 받는 여러 혜택이나 연금 같은 것들, 그리고 대출심사 같은 것에도 해당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분명히 공부와 일을 열심히 하고 있지만 대학생도 근로자도 아닌, 말하자면 이중적으로 배제되는 입장인 것이다.

(특히 전문연구요원은 많은 장학사업이나 펀딩에서 예외이고 학내 근로도 불가능함. 복무 시간을 준수하면 학내 근로는 당연히 불가능한 것이니 그렇다고 치는데, 장학 같은 경우는 꼭 돈 때문이 아니라 장학 수혜 자체가 스펙이 되는 경우도 있는지라 더 아쉬운 부분이고... 암튼 이 부분은 이번에 장관님이 개선 의지가 있으시다고 들었다.)


이렇다 보니, 분명히 일도 열심히 하고 있고 BK 및 과제 인건비 등도 챙겨 주시는데도 불구하고 뭔가 사회의 엄연한 구성원으로서 삶의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 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듯하다. 이러한 유예에서 오는 불안과 불확실성이 큰 시기(개인적)이고 또한 그러한 세대(사회적)이다보니 좀더 이런 게 피부에 와닿는 느낌이 있다. 내 개인적으로는 대학원생들한테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교육과 사회에 좀더 직접 기여할 책무를 부여해서라도, 고도화된 사회계약의 참여자로 약간 더 적극적으로 포함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귀찮아할 사람도 많겠지만...


아무튼 나 정도면 무척 괜찮은 환경에서 다니는 것일텐데 너무 많은걸 바라는 건가 싶기도 하다. 그래도 현대 국가에서 내가 뭘 하는 사람인지 정확하게 제도 상에 인지되고 라이프사이클에 맞게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게 기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대학원생이라는 신분이 유독 이런 면에서 구멍이 있는 것 같다.

대학원생 인건비가 근로소득으로 인정되거나, 평균값이 대폭 오르거나 하는건 여건상 무리이기도 하거니와 우리의 마땅한 지향점인지조차 불분명하긴 하다. 다만 회사 근로자에 준하는 이런저런 제도적 관심과 지원을 대학원생들도 어떤 방법으로 받을수 있게 되면 좋을 것 같다.

사실은 방법이 있는데 결혼하면 각종 혜택이 있다고 한다. 힘들고 결혼 안하는 시대라지만 이런 걸 감안하면 역시 상대에게 확신이 들면 끝없이 미루기보다는 주저말고 선택을 하는 것도 좋아보인다.


Facebook에서 이 글 보기: 링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