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게시물 목록

2023년 12월 5일 화요일

한국인의 상승욕구는 평등이 아닌 계급주의를 향해 있다

한국사회 구성원들이 대체로 상승욕구가 굉장히 강하며, 이것과 발맞추어서 실제적인 경제적/문화적 계급 고착화도 여지껏 비교적 덜하게 유지되어 왔다고 흔히 얘기한다.

이러한 특징이 개인과 국가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하고 발전할 거라는 믿음과 결합하여 '역동성'으로 작용하면서 (심지어 산업 및 경제뿐만 아니라 민주정치 발전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기능을 해왔던 것 같다.


그런데 만약에 이런 상승욕구의 근원을 따져봤을때 그것이 평등지향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정반대로 철저한 계급적 의식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면, 즉

1.현재의 계급과 무관하게 누구나 지금 있는 그대로 존중받고 나아가서 더 성공할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 아니라
2. 오히려 급을 철저하게 나누고 내가 그 위계 하에서 윗급에 서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패한 것이다 라는 생각 때문이라면
나라가 역동적으로 성장할 때는 위 두 가지가 그다지 구분이 되지 않으나 (혹은 구분 안해도 크게 상관없을 수 있으나) 나라의 성장동력이 사라지고 저성장 및 인구감소에 접어들면서 국민생활 개선 및 그에 대한 희망이 제공이 안되기 시작하면, 그래서 실질적으로 계급이 고착화되기 시작하면 위 둘은 즉각적으로 극명한 차이를 보이게 되는 듯하다.


한국사회에서의 삶의 표준모델은 아직까지 비교적 동질적인데 (현실을 떠나서 동질성을 표상하는 이념의 측면에서) 그렇다 보니 지극히 일원화된 기준 하에서 한 사람의 삶의 모든 것이 급수화, 점수화되고 이 점수가 그 사람의 성공 여부를 정하는 듯하다.

말하자면 추석에 가족들이 모였을 때 어느 대학 갔냐, 어디 취업했냐 캐물어보고 하는 클리셰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가족 친지 단위에서 미시적으로 내면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라는 거시적인 레벨에서 마치 거대하게 확장된 단일 친척공동체 (그러나 서로 도와주기보다는 서로 비교만 하는) 처럼 다같이 그러고 있다는 것이다. 동질성이 이러한 일원적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수립된 탓에 사회적 갈등 의식도 높고 말이다.

즉 내 생각에 위 1, 2 중에 한국인들은 명백히 후자라는 것이고, 이러한 특질이 딱 내 또래 세대가 첫타로 얻어맞게 될 전례없는 사회변화의 국면에서 시너지로 작용하여 매우 부정적인 여파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성취지위에 대한 과도한 주목과 일원화된 평가보다는, 다원화된 각 부문에서 자기가 맡은 자리를 지키면서 역할, 책임, 그리고 직업윤리를 다하는 사람들에게 인식상의 존중과 실제적인 상승도전의 기회가 더 많이 돌아가는 모럴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이는 소득과 안전을 보장해줌과 동시에, 구성원 간에 급을 나누고 비교하는 peer pressure를 완화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사실 나도 이런 peer pressure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물리 공부하는 것이 재미있어서 계속 하고는 있는데, 회사에 다니는 동기들은 절대적인 금전 부분을 떠나 커리어적인 성장을 하며 생애주기 상의 단계에 드라이브를 거는 데 비해서, 나는 계속 학교라는 똑같은 공간에 있고, 진로가 국내일지 국외일지 불확실해서 정착준비가 불가피하게 유예되다보니, 커리어적으로 치고나간다는 느낌과 객관적인 성장의 증거가 없어서 더 그런 듯하다.

저성장, 인구감소, 계급고착화를 필두로 한국사회가 곧 마주하게 될 망국적 변화속에서 내가 진로선택과 정착 준비를 20대 5년쯤 유예하기로 한 것이 아주 부정적인 스노우볼로 돌아오지는 않을지 불안감이 많이 드는 게 사실이다. 졸업하고 나서 내가 역할을 발휘하면서 꾸준히 기여할 수 있는 쪽으로 잘 되어야 할 텐데 걱정이다.

Facebook에서 이 글 보기: 링크

댓글 없음:

댓글 쓰기